생산직근로자가 받은 야간근로수당 등의 비과세관련 법률 정리 - 싸부넷

  • 나의 일정
  • erp바로가기

  • 최신댓글리스트 더보기
    Erp사용질문 실무Q&A
    게시판타이틀 원천징수 실무 / 상세보기
    추천수 325 | 조회수 10,397 | 등록일 2018-11-15 15:08:47

    제목

    생산직근로자가 받은 야간근로수당 등의 비과세관련 법률 정리

    글쓴이

    관리자
    내용
     
     
     
   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생산직근로자가 받은 야간근로수당 등의 비과세 관련법률요약]

     
    연장/야간/휴일근로수당 비과세는 아래 법률에서 보는 바와 같이 업종/ 급여 등 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A 업종요건 : 공장/광산/어업/운송/청소/경비/음식/매장판매/통신판매 등

    B 급여요건 :  월정액급여 190만원(2019년 2월 12일 이후 210만원) 이하이고  AND 직전년도 총급여 2,500만원(2020년 2월 11일이후 지급일인 경우는 3,000만원)이하인 근로자이어야 합니다.

  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법률을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~~

     

    - 소득세법 제12조 【비과세소득】

    다음 각 호의 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과세하지 아니한다.

    3.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득

    . 생산직 및 그 관련 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로서 급여 수준 및 직종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하여 받는 급여

     

    - 소득세법 시행령 제17조 【생산직근로자가 받는 야간근로수당 등의 범위】

     

    ① 법 제12조 제3호 더목에서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자월정액급여 210만원 이하로서 직전 과세기간의 법 제20조 제2항에 따른 총급여액이 3천만원이하인 근로자(일용근로자를 포함한다)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. 이 경우 월정액급여는 매월 직급별로 받는 봉급ㆍ급료ㆍ보수ㆍ임금ㆍ수당,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(해당 과세기간 중에 받는 상여 등 부정기적인 급여와 제12조에 따른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는 제외한다)의 총액에서 「근로기준법」에 따른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하여 통상임금에 더하여 받는 급여 및 「선원법」에 따라 받는 생산수당(비율급으로 받는 경우에는 월 고정급을 초과하는 비율급을 말한다)을 뺀 급여를 말한다.

     

    1. 공장 또는 광산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서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생산 및 관련종사자 중 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자

    => 소득세법시행규칙제9조 【생산 및 그 관련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범위】

    ① 영 제17조 제1항 제1호 및 제3호에서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자라 함은 별표 2에 규정된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말한다.

     

    2. 어업을 영위하는 자에게 고용되어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서 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자

    => 소득세법시행규칙제9조 【생산 및 그 관련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범위】

    ② 영 제17조 제1항 제2호에서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자란 어선에 승무하는 선원으로 하되 「선원법」 제2조 제3호에 따른 선장은 포함하지 아니한다.

     

    3.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운전 및 운송 관련직 종사자, 운송ㆍ청소ㆍ경비 관련 단순 노무직 종사자 중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자

     

    => 소득세법시행규칙제9조 【생산 및 그 관련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범위】

    ① 영 제17조 제1항 제1호 및 제3호에서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자라 함은 별표 2에 규정된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말한다.

     

    4.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 종사자, 매장 판매 종사자, 통신 관련 판매직 종사자, 음식ㆍ판매ㆍ농림ㆍ어업ㆍ계기ㆍ자판기ㆍ주차관리 및 기타 서비스 관련단순 노무직 종사자 중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자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사업주에게 고용된 자만 가능했으나, 2021년 2월 17일 이후부터 다음 각호의 요건을 갖추지 않아도 가능합니다.

    => 소득세법시행규칙제9조 【생산 및 그 관련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범위】

    ③ 영 제17조 제1항 제4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자란 별표 2 2에 규정된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말한다.

     

    . 해당 과세연도의 상시근로자 수가 30인 미만일 것

    . 해당 과세연도의 소득세 또는 법인세 과세표준이 5억원 이하일 것. 이 경우 소득세 과세표준은 사업소득에 대한 것에 한정하며, 그 계산방법은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한다.

    => 소득세법시행규칙제9조 【생산 및 그 관련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범위】

    ④ 영 제17조 제1항 제4호 나목을 적용할 때 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 과세표준은 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에 종합소득금액을 사업소득금액으로 나눈 비율을 곱하여 계산한다.

     

    ② 법 제12조 제3호 더목에서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하여 받는 급여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을 말한다.

     

    1. 「근로기준법」에 따른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하여 통상임금에 더하여 받는 급여 중 240만원 이하의 금액(광산근로자 및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는 해당 급여총액)

     

    2. 1항 제2호에 규정하는 근로자가 「선원법」에 의하여 받는 생산수당(비율급으로 받는 경우에는 월 고정급을 초과하는 비율급)중 연 240만원 이내의 금액

     

    ③ 제1항 제2호에 따른 어업의 범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다.

     

    소득세법 시행규칙【별표 2】 (2018. 3. 21. 개정)


     

    생산 및 그 관련직의 범위(제9조 제1항 및 제2항 관련)
    직종 한국표준
    직업분류번호
    연번 대분류 중분류
    1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식품가공 관련 기능직
    섬유ㆍ의복 및 가죽 관련 기능직
    목재ㆍ가구ㆍ악기 및 간판 관련 기능직
    금속 성형 관련 기능직
    운송 및 기계 관련 기능직
    전기 및 전자 관련 기능직
    정보 통신 및 방송장비 관련 기능직
    건설 및 채굴 관련 기능직
    기타 기능 관련직
    =========================
    71
    72
    73
    74
    75
    76
    77
    78
    79
    2 장치ㆍ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식품가공 관련 기계 조작직
    섬유 및 신발 관련 기계 조작직
    화학 관련 기계 조작직
    금속 및 비금속 관련 기계 조작직
    기계 제조 및 관련 기계 조작직
    전기 및 전자 관련 기계 조작직
    운전 및 운송 관련직
    상하수도 및 재활용 처리 관련 기계 조작직
    목재ㆍ인쇄 및 기타 기계 조작직
    ============================
    81
    82
    83
    84
    85
    86
    87
    88
    89
    3 단순노무 종사자 건설 및 광업 관련 단순 노무직
    운송 관련 단순 노무직
    제조 관련 단순 노무직
    청소 및 경비 관련 단순 노무직
    91
    92
    93
    94
    비고 : 위 표의 한국표준직업분류번호는 통계청 고시 제2017-191호(2017. 7. 3.)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분류번호로서 2단위 분류번호(71, 72, 73, 74, 75, 76, 77, 78, 79, 81, 82, 83, 84, 85, 86, 87, 88, 89, 91, 92, 93 및 94)는 중분류 직종의 분류번호임.





    싸부넷 [급여입력] 메뉴에서 야간근로수당을 비과세로 적용하는 방법

    1. [사원등록] 메뉴에서 해당 사원을 선택한후, 우측 상단에서 "야간근로비과세"를 체크후 저장합니다.
    2. [급여/공제항목설정] 메뉴에서 급여항목 설정에 야간근로수당(비과세)을 등록합니다.
    3. 급여입력 메뉴에서 월정액 급여 210만원이하로 입력시, 자동으로 야간근로수당은 비과세로 처리됩니다.

    ※ 싸부넷의 급여입력 메뉴에서 월정액 급여 계산 방법

    월정액 급여 = 급여총액 - O01 : 야간근로수당 - H02 : 일(숙)직료 및 여비 - H03 : 자가운전보조금 (월 비과세 20만원) - 비과세 항목 코드 H07~H11 - 상여총액



     
     

     

    추천
    목록
    원천징수 실무 전체목록 (113)
    번호
    모든 게시물의 저작권은 싸부넷에 있습니다
    조회
    113
    [근로소득 간이지급명세서] 2023년 귀속분부터 식대 비과세 금액 포함해서 제출 [5]
    6,607
    112
    [2023년부터] 식대 비과세 월20만원이 지급명세서 제출대상으로 변경 [3]
    6,064
    111
    [인사급여] 자녀세액공제 대상 연령 변경 안내 (2023년 1월부터) [2]
    4,782
    110
    일용직 출퇴근 차량유지비 비과세 항목인가요? [25]
    6,559
    109
    사내 행사시 장기자랑 시상금 지급시 기타소득인지 근로소득인지? [2]
    12,751
    108
    임원이 사용인으로 변경시도 현실적인 퇴직에 해당하는지? [4]
    7,366
    107
    과세소득을 비과세소득으로 잘못 기재하여 지급명세서를 제출한 경우 가산세는?
    6,638
    106
    연구활동비 비과세는 기업부설연구소에 등록된 연구원만 가능한가? [1]
    7,698
    105
    기타소득 신고분을 사업소득으로 수정 신고시 가산세는? [1]
    8,348
    104
    재학중인 운동선수에게 아무런 조건없이 장학금을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는?
    5,714
    103
    해외건설근로자가 월중에 귀국 또는 출국하는 경우 비과세되는 급여는?
    4,185
    102
    20세이하 자녀세액공제 관련 내용 총정리 [12]
    6,007
    101
    상여금에 대한 원천징수세액 계산방법 [18]
    11,656
    100
    소송 결과에 따른 연말정산 수정신고시 보험료 소득공제 적용시기는?
    4,449
    99
    전년도에 발생한 자녀학자금을 당해년도에 신청하여 지급할 경우 귀속시기 [1]
    3,797
    98
   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의 총지급액은 비과세금액을 합한 금액을 적어야 하는지? [10]
    10,207
    97
    협력사 직원에 대한 출장비 및 회의참석수당 지급시 원천징수 및 처리방법 [1]
    12,103
    96
    업무용승용차 사적사용분 인정상여 처분시 연말정산 반영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? [1]
    8,193
    95
    야간에 근무하는 교대조에게 현금으로 식대를 지급한다면 비과세로 인정받을 수 있나요?
    5,145
    94
    근로자가 간이세액조견표에 따른 원천징수세액을 120%로 하여 급여 공제를 요청하는 경우는? [1]
    5,109
    93
    야근식대를 실비정산 없이 야근일수당 8천원을 정액으로 지급해도 되나요? [1]
    7,659
    92
    DC형 퇴직연금 가입자의 경우 별도로 추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는?
    13,106
    91
    상품권을 할인하여 구입한 경우 근로소득 합산금액은 액면가인지 할인한 금액인지 [1]
    6,946
    90
    자사 의류브랜드 홍보 목적으로 운동선수에게 의류 협찬시 원천징수를 해야 하나요?
    5,033
    89
  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없는 경우 생산직근로자 비과세 적용은?
    6,317
    1
    2
    3
    4
    5